Pokémon GO/Wayfarer 심사

전남 완도군 신평1길 포켓스탑 셀중복 전략적 분석

얼룩염소 2024. 5. 23. 12:02
728x90
반응형

네이버 카페 포공한에서 어느 유저분께서 올려주신 지도를 통해 셀중복이 어떻게 게임에 구현되었는지 확인해보겠습니다.

우선 셀중복으로 약 3개의 스탑이 구현되지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

주황색 핀으로 표시된 부분이 승인이 되었지만 셀중복으로 포켓몬고에 나타나지 않은 스팟입니다.
총 3개의 스팟이 셀중복으로 구현되지 못했습니다.

캠프파이어 앱을 통해 확인한 결과,
신평리경로당이 해당 셀의 체육관으로 보여지고요.

인그레스로 구현되었다고 확인할 수 있는 iitc 맵의 사진도 가져왔습니다. 인그레스에서는 꽃게벽화, 복지회관, 회관정자가 구현되어 있습니다.

전체적으로 승인이 된 후보들을 모두 보여주는 맵입니다.

신평마을회관

신평마을회관은 포켓몬고, 인그레스 모두 구현되지 않은 것으로 보여집니다.

신평마을건강운동기구

마을회관과 운동기구는 wayfarer 에 데이터에 들어가 있지만, 인그레스에서도 구현되지 못했습니다. 인그레스에서도 아주 가까이에 인접하게 웨이스팟을 생성하면 일정 거리 내에서는 구현되지 않도록 되어 있습니다.
아마 먼저 구현된 아래의 마을 정자와의 거리가 매우 가까워서 후에 생긴 운동기구와 마을회관이 구현되지 못한 경우로 추측됩니다.

신평마을회관 정자

신평마을회관정자만 포켓스탑과 인그레스에 모두 구현되어 있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아마 제일 먼저 승인이 된 후보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셀을 미리 파악하지 않고 포켓스탑을 건설하게 되면 이러한 셀중복 문제에 맞딱트려 큰 손해를 보게 됩니다.
특히, 이미 생성이 된 포켓스탑, 스팟은 특정한 사유가 없으면 이동이나 삭제가 거의 안 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그렇다면,
이동, 삭제가 되는 특정한 사유는 어떻게 될까요?

1. 정위치가 아닌 위치에 승인이 된 경우
2. 삭제가 되어야 할 경우 (허위,가짜)

크게 2가지가 해당된다고 정리할 수 있습니다.

Q. 그렇다면 완도군의 신평1길 포켓스탑과 wayspot은 방법이 없는걸까요?

네이버 로드뷰를 통해 확인한 해당 셀의 운동기구, 마을회관, 정자가 한 눈에 보이는 사진입니다.

로드뷰 사진에서 보이는 순서대로
동쪽부터 운동기구,마을회관, 정자 입니다.

정확한 위치대로 스팟이 생성된 것인지 확인해봅시다.

동쪽에 위치한 운동기구부터, 마을정자, 마을회관이 순서대로 승인이 되어 있는 모습입니다.

iitc 셀중복

아주 올바른 위치에 신청을 해주신 탓에,
잘못된 위치라는 사유로 이동은 거의 불가능해 보입니다. 또한 해당되는 3개의 스팟이 모두 같은 셀 내에 존재합니다. 그래서 크게 이동하지 않는다면 결국 같은 셀 내에 존재하는 스팟들이라 셀중복을 벗어나기는 힘들어 보입니다.

iitc 셀중복

iitc 맵에서 보이지 않는 스팟을 보라색 핀으로 표시해 보았습니다. 이미 승인이 된 상태에서의 이동은 어려워서 다른 후보의 셀을 확인 후에 차근차근 스탑을 설치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iitc 셀중복 이동

미리 셀을 알고 마을회관을 아래 셀에 보이는 회관 뒷부분으로 신청하셨다면,  하나의 포켓스탑을 살릴 수 있었을텐데 하는 아쉬움이 있습니다.

혹시라도 이동 신청을 해보시는 것도 추천을 드립니다.

728x90
반응형